[C언어] Theme03. 프로그램 구조와 데이터 출력하기
main 함수 구조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 {
printf("No sacrifice");
printf("No victory");
return 0;
}
위의 함수에서 3행부터 9행까지가 main 함수이며,
head → int main(void)
body → {실행 코드 + return 0;}
로 구성됩니다.
head는 함수 원형(function prototype)이라고 하며 함수의 이름과 필요한 데이터 등을 표시합니다.
함수에서 실행할 일들은 body의 중괄호 안에 작성하며,
body의 마지막에는 'return 0;'을 넣어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
코드 작성 규칙
body의 중괄호 안에는 함수에서 실행할 코드를 규칙에 맞게 작성해야 합니다.
- 세미콜론을(;)을 사용하여 문장의 끝을 표시한다.
- 한 줄에 한 문장씩 작성한다.
- 일정한 간격(4칸)으로 들여 쓴다.
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서 코드를 작성해야 추후에 작업할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,
다른 사람이 쉽게 코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.
printf의 사용법
데이터를 출력할 때는 printf 함수를 사용해서 출력합니다.
printf는 print formatted라는 뜻으로 일정한 형식에 따라 출력하며,
'프린트에프'로 읽습니다.
#include <stdio.h>
stdio.h는 standard input output(표준 입출력)을 의미하며 C언어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입출력 함수가 들어있습니다.
따라서 #include <stdio.h>는 stdio.h 파일인 기본 함수 등의 내용을 프로그램 안에 복사한다는 의미입니다.
제어 문자
제어 문자란 문자는 아니지만, 출력 방식에 영향을 주는 문자를 뜻합니다.
제어 문자를 문자열 안에 포함시키면 그 기능에 따라 출력 형태를 바꿀 수 있고,
일반 문자와 구분하기 위해 백슬래시(\)와 함께 사용합니다.
\n(New Line); 다음 줄로 이동
printf("Hello\n");
printf("my friend");
위 코드의 경우 'Hello'를 출력하고 줄을 바꿉니다.
문자열 끝에 있는 '\n' 제어문자의 기능이 줄 바꿈이기 때문입니다.
<실행 결과>
Hello
my friend
\b(Backspace): 한 칸 왼쪽으로 이동
printf("Goot\bd\tmorning\n");
위 코드의 경우 Goot가 출력된 후에 제어 문자 \b에 의해 커서가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합니다.
커서가 이동한 후에 t를 d로 바꾸어 Good이 출력됩니다.
이어서 제어 문자 \t에 의해 고정된 크기의 간격을 만들고, 이어서 morning을 출력합니다.
※ 제어문자 \t
제어문자 \t는 탭(tab) 문자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입니다.
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문자 조합으로, 출력 형식을 제어하거나
특정한 문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.
\t는 출력 시에 사용되며, 탭 문자를 출력 위치에 삽입합니다.
탭 문자는 일반적으로 출력 화면에서 고정된 크기의 간격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.
탭 문자(\t)는 보통 기본적으로 고정된 간격을 가지며, 일반적으로 8개의 공백으로 이루어진 탭 간격을 의미합니다.
하지만 이는 출력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, 몇 칸의 공백이 삽입되는지는 출력 장치나
텍스트 편집기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\r(Carriage Return): 맨 앞으로 이동
printf("Cow\rW\n");
위의 코드는 Cow가 출력되고 제어 문자 \r에 의해 커서가 첫 번째 칸으로 이동합니다.
그 자리에서 W를 출력하므로 C가 W로 바뀌어 Wow가 출력됩니다.
\a(Alert): 벨 소리
printf("Cow\rW\a\n");
위의 코드는 방금 전 코드에서 제어 문자 \a만 추가한 코드입니다.
Ctrl + F5를 눌러 파일을 실행하면 제어 문자\a에 의해 벨 소리를 발생시킵니다.